게임도 항상 다캐릭으로 내 취향인 캐릭터 찾을 떄까지 무한 양산했고, 대학교도 오죽하면 이것저것 다 건들다가 복수 전공을 했다.
지금 결국 거의 코딩으로 먹고 사는 느낌이지만 그래도 마음 한 구석에선 뭔가 내가 만든 작품이 인정받았으면 좋겠다는 마음이 슬그머니 올라온다.
뭔가를 시작하는 건 어렵다. 지속하는 것도 어렵다. 작심삼일을 몇 번했는지.
하지만 몇 달 단위로 이러한 욕망의 항아리가 뻥하고 터지는 시기가 와버렸다. 나는 인생을 날로 먹고 싶다! 노력 많이 안하고 시간 많이 안들이고도 빠르게 내 욕망을 채우고 싶다!
최근에 영어 배워보겠다고 듀오링고를 한번 해봤는데, 겨우 이틀차 해놓고 매우 뿌듯한 상태다. 이 기분을 최대한 오래 끌고 가면서 내가 하고 싶었던 것을 다시 도전해보고 싶다.
일단 항상 그 일이 일상적이고 간단하게 느껴져야 지속할 수 있다는 점을 상기하자. 던파 매일 환요오괴의 주시 일퀘 도는 거 20캐릭 해도 1시간이 안걸린다고 하지만, 이것 조차도 한 5개하면 하기 싫을 정도다. 아무리 쉬운 일이어도 지속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.
우선 5분 정도를 기본 리미트로 잡고, 5분만 딱 해보는 거고, 5분만에 최대한 결과를 보도록 하자. 오늘은 그러면 모델링을 한번 건드려보자.
또 시작하려니 Blender 새로 깔기의 욕망이 스멀스멀 올라온다.
우선 빠르게 결과를 얻는게 목표이므로 최근 AI 툴이 뭐가 나왔는지도 확인해볼 요량이다.
Meshy AI, 텐센트의 Hunyuan3d 라는 게 있다고 한다. 지금 이것들 배워서 트라이 하기엔 또 너무 귀찮다. 일단 이정도만.
왜냐하면 제대로 캐릭터 모델링을 뽑으려면 느낌이 이미지부터 제대로 뽑고 이 이미지를 가지고 Turnaround 이미지로 뽑고 이걸 전달해주고 ... 이래야 뭔가 나올 것 같기 때문이다.
AI가 무척 편리하고 좋은 것도 인정한다. 하지만 내 스스로 어떤식으로 출력되는 게 멋지고 아름다운지, 실제로 사용하려면 어떤 허들을 해결해야 하는지 등을 이해하지 못한 상태에서 단순히 눈에 보이는 허상만 쫒을 수는 없다. 이 밸런스를 어떻게 잡아야 할까... 결국 내 실력이 따르지 않으면 AI로 결과도 낼 수 없다. 결국 뭐라도 계속 해보는 수 밖에...
오히려 이러한 AI 툴을 만든 개발자가 더 대단하단 생각이 든다. AI 학습 시킨 결과가 무엇이 더 좋은지 평가하는 알고리즘을 넣는 것부터가 어떻게 출력되야 진짜 쓸모있는 데이터인지 알고 있다는 전제하에 가능하기 때문이다. 예를 들면 이미지에서 PBR 값을 추출하고 delighting 같은 걸 할 수 있다는 것 부터가...
에효.. 일단 캐릭터 모델링에서 가장 고민하는 건 토폴로지인데, 내가 보기에 다음 유튜버가 매우 이쪽 분야에서 잘하는 것 처럼 느껴졌다.
https://www.youtube.com/watch?v=O7tlBcS3Oac
내 욕심으로는 이런 식으로 모델링하고 애니까지 기깔나게 해보고 싶은데, 아마 이걸 하기 위해서 엄청 노력을 많이 하셨겠지...
그림도 계속 좌절했던 부분이 선화가 아예 맛탱이가 갔다는 사실이다. 난 백지에다가 그냥 브러쉬로 대충 칠하는 것 부터 해야 그림이 계속 진행이 되었고 항상 선으로 그리려고 하면 멘붕이 왔다. 그래서 이제 누가 뭐라고 하지도 않는 거 그냥 선화를 갖다 버리기로 했다. 대충 하자...
그러면 뭘 그려볼까... 뭘 그릴지 고민하는 것도 시간 낭비다. 그냥 적당한 그림 모작이나 하자.
아무튼 앞으로 이 듀오링고처럼 조금씩 조금씩 쌓아가는 것을 목표로 한번 진행해보자..
https://www.youtube.com/watch?v=4bWhzdTMAkE
이 유튜브 영상을 보면서 한번 따라 가보기로 했다. 그대로 만드는 건 아니고 대략적인 흐름을 따라가보려고 한다.
먼저 팔각형으로 눈두덩이를 표현하는 듯 하다. 모든 토폴로지는 사각형으로 연결된다.
대충 plane 만들어서 모양 대충 만들었는데, 눈 부분을 동그랗게 만드는 법을 몰라서 검색해보니 loop tool을 쓰라고 한다. 그래서 다운받으려고 하니까 addon에 안나온다. 그래서 또 검색을 하니까 get extensions 항목에서 설치를 하는 식으로 변경이 되어 있다...
자세한 건 모르지만 add on은 진짜 유저 커스텀이고 Get Extensions 항목은 blender에서 원래 만들어둔 걸 쓰는 듯 하다.
오케이.. 오늘은 여기까지. 더 퍼먹으려다간 또 질려서 퍼질 수 있다.
'진행과정 기록 > 그림, 모델링 쌀먹해보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2 (0) | 2025.08.31 |
---|